easygraphics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미디어로그
  • 위치로그
  • 방명록

genivi 1

1. 임베디드 linux 그래픽 시스템과 DRM

디스플레이 패널은 CPU/GPU가 준비해 놓은 버퍼를 특정 주기마다 출력한다(AP를 사용하는 임베디드에서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H/W IP가 이역할을 담당한다). 이 출력되는 구간을 Vertical Blank(일반적인 패널에서 좌측 위 끝에서 우측아래 끝까지 그려지는 구간)라고 하며 이 주기가 패널의 fps를 결정 하게 된다. 또한 tearing을 방지하기 위해 이 구간 동안 AP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IP가 frame buffer에 접근하지 않도록 구현되어 있다.(Vsync, sync/fence 활용)*tearing: framebuffer가 패널로 출력 되고 있는도중 CPU가 frambuffer 영역을 갱신하여 패널 화면에 다음 frame이 섞여 출력되어 화면이 깨져보이는 현상 예를 들어 60fps인 ..

Wayland in Embedded linux/1. Linux graphic system and DRM 2017.05.26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easygraphics

  • 분류 전체보기 (21)
    • SystemD (1)
    • 기타 (3)
      • Dual linux booting(AMP mode.. (1)
      • ARM core category (1)
      • Linux Container on Embedded (1)
      • Not yet)Linux HDMI controll.. (0)
      • Not yet)Linux Display contr.. (0)
    • Wayland in Embedded linux (16)
      • 1. Linux graphic system and.. (4)
      • 2. Understanding Wayland (2)
      • 3. Wayland & DRM driver (1)
      • 4. Wayland & Weston (1)
      • 5. Wayland client applicati.. (1)
      • 7. Weston code analysis (0)
      • 6. Weston & EGL-MESA (1)
      • 8. Weston & shell (0)
      • 9. Waylan-ivi-extension (1)
      • 10. Wayland buffer sharing(.. (1)
      • Wayland on Raspberrypi(arm) (2)
      • Etc-1. Using the Weston (0)
      • Wayland on Ubuntu(intel x86.. (1)

Tag

agl, wayland-ivi-extension, surface share, libgbm, weston, genivi, drm driver, ivi-shell, Embedded, direct rendering memory, ivi-share, drm, OpenGL, ivi, wayland, Raspberry Pi, 임베디드,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공지사항

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

  • Facebook
  • Twitter

Archives

Calendar

«   2025/05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
방문자수Total

  • Today :
  • Yesterday :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  • google adsense setting

티스토리툴바